자연과 함께

[스크랩] 백두대간의 소개와 가치 그리고 고도표와 거리(참고)

낙동강사랑 2009. 12. 29. 23:19

 

매월3째주 토요무박으로 진행합니다.

아래의 구간 고도표와 거리상 지도는 최근래에 가장 정확히 나온것을 퍼왔습니다.

우리는 반대로 북진을 합니다.

아래 구간으로 꼭 정확히 나누지 않고 때에 따라서는 조금씩 짧게 진행됩니다.

누구나 시작이 어렵지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두려움은 마음에 있습니다.

1기에서 중도에 탈락하신 분들도 많치만 산에 처음 접해서 크나큰 대간길을 완주 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용기와 도전없는 삶은 너무 재미없지 않을까요???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 장군봉에서 지리산 천왕봉에
이르는 길이 1.400㎞(남한지역 670㎞)의 산줄기이다.

이미 존재해 오던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리개념이 1800년 무렵에
등장한 산경표(山徑表)를 통하여 체계화되었다.

 
*산경표(山徑表)
 저자를 여암 신경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시기와 저자에 대한 확실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
산경표에서는 우리나라의 큰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근간이자 기둥이 되는 
가장 커다란 산줄기가 바로 백두대간이다. 
반면 산맥도는 일제침략기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20세기 초 일본 지질학자 고또분지로는 지하자원 수탈을 
목적으로 14개월에 걸쳐 한반도의 지질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조사결과인 한반도의 지질구조도에서 
산맥개념을 처음 제기하였다. 
따라서 지질선에 입각한 산맥개념은 실제 지형과는 다른 것이다. 
이때부터 산맥도가 원래 산줄기의 개념인 산경도를 
대신하게 되었으며 백두대간이 사라진 자리를 
태백산맥이 차지하게 되었다. 
해방 후 수십 년이 지나는 동안에도 내내 잊혀졌던 백두대간이 
몇몇 뜻있는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20세기 후반에야 
비로소 다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백두대간은 이 땅을 이해하는 첫걸음입니다. 
우리 선조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루어진 백두대간 중심의 
전통 지리관으로 이 땅을 이해해 왔습니다. 
백두 대간에는 땅을 살아 있는 생명체로 인식하고 
언제나 함께 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살아온 조상들의 세계관이 녹아 있다.

백두대간의 가치

 
* 민족의 상징으로서의 백두대간
백두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에서 따온 말이며
대간은 정간 정맥 지맥들에 비해 으뜸임을 나타내 주는 
산줄기의 품계라고 할 수 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을 뿌리로 하여 남으로 지리산까지 뻗어 이어지면서 
1정간 13정맥을 비롯한 한반도의 모든 산줄기를 빚는 동시에
북으로는 드넓은 대륙으로 힘차게 뻗어가고 있어 
우리민족의 기상을 담고 있다. 
이것이 일제의 백두 개념의 말살정책에 의해 태백산맥으로 격하되어 버렸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상징인 백두대간을 올바로 인식하는 것은 
민족의 긍지를 회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화적 특성을 구획하는 울타리로서의 백두대간
물줄기는 사람을 모으고 산줄기는 사람을 나눈다. 
물줄기가 만들어 놓은 비옥한 평야는 사람들에게 거주지와 
경작지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을 모여들게 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키워준다. 
그러나 산줄기는 높고 험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접근을 힘들게 하며 
문화적 이질성을 커지게 하는 경계역할을 한다. 
실제로 속리산 문장대 용화온천 개발로 문제가 되었던 
화북면 운흥리 중벌리의 경우 행정구역상으로는 경북 상주시에 
속하지만 실질적 생활권은 충북 괴산군에 속한다. 
이 지역이 충북과 마찬가지로 백두대간의 서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남한의 백두대간은 크게 영남권과 호남권 영남권과 기호권 영동권과 
영서권으로 나뉜다. 
각각의 지역은 백두대간에 의해 오랫동안 언어 풍습 성격 등 
서로 다른 특색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생태계의 중심축으로서의 백두대간
산이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반면 생물들의 
이동은 보다 원활하게 한다. 
특히 사람을 피해 다녀야 하는 야생동물의 경우 생활권을 확보하는데 
있어 산줄기는 매우 적합한 서식처로 된다. 
또한 산 능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므로 야생 동 식물의 이동 및 
개체군 확산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백두대간은 국토 최대(1,400㎞)의 
생태통로(ECO-CORRIDOR)라 할 수 있다. 
백두대간은 생물종 다양성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동물 564종 중 대부분이 
서식하고 있으며 고도 및 기온차 등 지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식물종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백두대간에 뿌리를 둔 모든 산줄기가 전국에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국그린네트워크화 
구상(환경부 1994)에 있어서도 바로 
백두대간이 생태 중심축으로 설정된다. 

 

 

 

 

 

 

HOME > 백두대간 > 백두대간 구간 소개

북진 35 구간 설악산권
미시령(3.45)-신선봉(2.85)-대관령(3.55)-마산(5.75)-진부령
8.07Km 1,456m 6.12Km 1,188m 13.78Km 15.60Km 15.6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15.60Km  
북진 34 구간 설악산권
미시령-2.5-1318봉-1.65-황철봉-4.35-마등령
5.63Km 1,168m 3.86Km 676m 9.23Km 8.50Km 24.10Km
설악산(매표소)-3.0-비선대-3.8-마등령 6.80Km 무박
15.30Km  
북진 33 구간 설악산권
마등령-2.1-1275봉-3.1-회운각-1.9-대청봉-1.75-끝청-4.05-서북능삼거리-2.33-한계령
6.89Km 1,218m 7.51Km 1,513m 13.99Km 15.23Km 39.33Km
마등령-3.8-비선대-3.0-설악산(매표소) 6.80Km 무박
22.03Km  
북진 32 구간 설악산권
한계령-5.65-망대암산-1.4-점봉산-오색삼거리-4.5-단목령-3.1-북암령-7.25-조침령
10.87Km 1,544m 12.50Km 1,686m 23.01Km 23.90Km 63.23Km
서림-5.0-조침령 5.00Km 무박
28.90Km  
북진 31 구간 설악산권
조침령-4.65-쇠나드리-12.4-갈전곡봉-4.2-구룡령
9.73Km 1,650m 10.95Km 1,411m 20.33Km 21.25Km 84.48Km
조침령-5.0-서림 5.00Km 무박
26.25Km  
북진 30 구간 설악산권
구룡령-6.8-응복산-8.15-두로봉-6.95-동대산-1.6-진고개
11.23Km 1,852m 11.71Km 1,845m 22.49Km 23.50Km 107.9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3.50Km  
북진 29 구간 오대산권
진고개-3.85-노인봉-3.7-소황병산-5.1-매봉-4.25-곤신봉-3.25-선자령-5.65-대관령
11.44Km 1,168m 13.92Km 1,312m 25.16Km 25.80Km 133.7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5.80Km  
북진 28 구간 오대산권
대관령-1.8-능경봉-11.15-닭목재-1.95-화란봉-5.4-석두동-6.8-삽당령
12.43Km 1,671m 14.96Km 2,154m 26.77Km 27.10Km 160.8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7.10Km  
북진 27 구간 오대산권
삽당령-6.3-석병산-8.92-헬기장-3.28-백복령
9.97Km 1,356m 8.10Km 1,272m 17.76Km 18.50Km 179.3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18.50Km  
북진 26 구간 태백산권/오대산권
백복령-9.4-상월산-1.6-이기령-6.25-고적대-2.2청옥산-3.35-두타산-6.3-댓재
14.15Km 2,481m 13.96Km 2,249m 27.33Km 29.10Km 208.4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9.10Km  
북진 25 구간 태백산권
댓재-1.5-황장산-4.7-광동댐 이주단지-5.5-덕항산-8.0-건의령-6.4-피재
13.90Km 1,998m 11.93Km 1,871m 25.39Km 26.10Km 234.58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6.10Km  
북진 24 구간 태백산권
피재-2.55-매봉-6.0-금대봉-1.2-싸리재-5.4-함백산-2.85-만항재-3.45-화방재
12.11Km 1,797m 9.47Km 1,783m 21.01Km 21.45Km 256.03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1.45Km  
북진 23 구간 태백산권
화방재-4.5-태백산-3.93-깃대배기봉-5.35-신선봉-4.96-구룡산-5.46-도래기재
12.20Km 2,252m 13.19Km 2,208m 24.58Km 24.20Km 280.23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4.20Km  
북진 22 구간 태백산권
도래기재-2.6-옥돌봉-3.0-박달령-5.1-선달산-1.77-늦은목이-1.03-갈곶산-4.9-마구령-7.6-고치령
14.33Km 2,325m 12.08Km 2,338m 25.64Km 26.00Km 306.23Km
좌석리-4.0-고치령 4.00Km 무박
30.00Km  
북진 21 구간 소백산권
고치령-2.8-마당치-8.27-국망봉-3.08-비로봉-4.43-천문대-6.25-죽령
12.31Km 2,018m 13.18Km 2,074m 24.94Km 24.83Km 331.06Km
고치령-4.0-좌석리 4.00Km 무박
28.83Km  
북진 20 구간 소백산권
죽령-5.8-도솔봉-1.7-묘적봉-1.05-묘적령-4.05-뱀재-2.6-싸리재-1.0-배재-3.98-저수령-6.06-벌재
12.54Km 2,424m 12.68Km 2,487m 24.50Km 26.24Km 357.3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6.24Km  
북진 19 구간 소백산권
벌재-4.56-황장재-0.92-황장산-2.6-차갓재-5.9-대미산-1.35-버리기재-7.6-만수봉 갈림길-2.82-포암산-1.35-하늘재
12.39Km 2,478m 13.80Km 2,578m 25.43Km 27.10Km 384.4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7.10Km  
남진 18 구간 소백산권
하늘재-1.82-울항삼봉-1.75-주흘산 갈림길-1.5-동암문-3.41-마폐봉-0.91-조령3관문-1.0-깃대봉-5.1-조령산-0.75-조령샘-2.12-이화령
8.31Km 2,071m 9.10Km 2,008m 16.68Km 18.36Km 402.76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8.36Km  
북진 17 구간 속리산권
이화령-1.53-조봉-3.9-황학산-1.85-백화산-1.45-평전치-2.46-사다리재-1.1-이만봉-2.26--배너미평전
8.08Km 1,023m 5.82Km 762m 13.72Km 14.55Km 417.31Km
은티마을-2.9-배너미평전 2.90Km 당일
17.45Km  
북진 16 구간 속리산권
배너미평전-2.28-희양산-1.38-지름치재-2.75-은치재-2.16-악희봉-5.35-장성봉-1.97-버리미기재
6.39Km 1,271m 7.64Km 1,625m 13.54Km 15.89Km 433.20Km
배너미평전-2.9-은티마을 2.90Km 당일
18.79Km  
북진 15 구간 속리산권
버리미기재-4.55-대야산-1.25-밀재-4.35-조항산-1.15-갓바위재-3.7-청화산-2.49-늘재
7.61Km 1,540m 7.92Km 1,639m 15.00Km 17.49Km 450.69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7.49Km  
북진 14 구간 속리산권
늘재-3.3-밤티재-4.45-문장대-1.17-신선대-2.58-천황봉-5.66-피앗재-1.56-형재봉-0.7-갈령삼거리
9.82Km 1,408m 6.45Km 1,084m 15.96Km 19.42Km 470.11Km
갈령-1.2-갈령삼거리 1.20Km 당일
20.62Km  
북진 13 구간 속리산권
갈령삼거리-4.15-비재-3.85-봉황산-1.45-산불감시초소-3.26-화령재-1.87-윤지미산-4.41-무지개산-4.27-신의터재
10.28Km 1,248m 12.42Km 1,692m 22.38Km 23.26Km 493.37Km
갈령삼거리-1.2-갈령 1.20Km 무박
24.46Km  
북진 12 구간 속리산권
신의터재-4.55-지기재-2.7-개머리재-4.7-백학산-6.87-개터재-5.65-큰재
11.27Km 1,255m 12.24Km 1,188m 23.29Km 24.47Km 517.84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4.47Km  
북진 11 구간 덕유산권
큰재-3.18-국수봉-2.47-용문산-5.13-작점고개-2.05-묘함산 갈림길-4.19-502봉-2.65-추풍령
8.94Km 1,189m 8.67Km 1,290m 17.38Km 19.67Km 537.51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19.67Km  
북진 10 구간 덕유산권
추풍령-3.61-눌이산-3.03-가성산-4.25-궤방령-5.55-황악산-2.85-바람재-4.45-질매재
12.18Km 2,122m 10.68Km 1,600m 22.38Km 23.74Km 561.25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3.74Km  
북진 9 구간 덕유산권
질매재-3.55-화주봉-6.78-심미걸재-0.72-삼도봉-8.2-부항령-5.3-덕산재
11.71Km 1,719m 11.73Km 1,766m 23.00Km 24.55Km 585.8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4.55Km  
북진 8 구간 덕유산권
덕산재-3.05-대덕산-1.45-삼도봉-3.25-소사고개-3.1-삼봉산-4.35-빼재
6.53Km 1,464m 8.02Km 1,150m 14.18Km 15.20Km 601.0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5.20Km  
북진 8 구간 덕유산권
덕산재-3.05-대덕산-1.45-삼도봉-3.25-소사고개-3.1-삼봉산-4.35-빼재
6.53Km 1,464m 8.02Km 1,150m 14.18Km 15.20Km 601.00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5.20Km  
북진 7 구간 덕유산권
빼재-3.96-대봉-1.11-달음재-1.2-지봉-0.51-싸리덤재-1.15-횡경재-0.34-귀봉-2.75-백암봉-2.2-동엽령
7.59Km 1,180m 5.96Km 818m 13.30Km 13.22Km 614.22Km
자연학습원-4.25-동엽령 4.25Km 당일
17.47Km  
북진 6 구간 덕유산권
동엽령-4.1-무룡산-2.68-삿갓골재-4.15-남덕유산-1.3-장수덕유산-1.85-헬기장-2.95-할미봉-2.28-육십령
7.90Km 1,264m 10.83Km 1,857m 18.30Km 19.31Km 633.53Km
동엽령-4.25-자연학습원 4.25Km 무박
23.56Km  
북진 5 구간 덕유산권
육십령-3.07-깃대봉-3.6-977봉-1.7-큰바위전망대-2.9-영취산-3.45-백운산-2.55-중고개재-1.8-중재
10.15Km 1,154m 8.85Km 1,196m 18.75Km 19.07Km 652.60Km
운산리-1.75-중재 1.75Km 무박
20.82Km  
북진 4 구간 지리산권
중재-7.73-봉화산-4.11-복성이재-3.38-시리봉-1.4-새맥이재-2.93-88도로(사치재)
8.86Km 1,223m 9.78Km 1,379m 18.34Km 19.55Km 672.15Km
지리산휴게소-0.75-88도로, 중재-1.75-운산리 2.50Km 무박
22.05Km  
북진 3 구간 지리산권
사치재-3.3-매요리-5.0-고남산-5.47-여원재
6.00Km 791m 7.07Km 800m 12.88Km 13.77Km 685.92Km
접속거리없음 0.00Km 당일
13.77Km  
북진 2 구간 지리산권
여원재-6.75-주촌리-2.15-고촌리-3.4-고리봉-0.9-정령치-만복대-5.2-성삼재
11.86Km 1,792m 8.17Km 1,189m 19.63Km 20.60Km 706.52Km
접속거리없음 0.00Km 무박
20.60Km  
북진 1 구간 지리산권
성삼재-3.5-노고단-2.23-돼지평전-1.05-임걸령-2.15-삼도봉-0.75-화개재-1.25-토끼봉-2.94-연하천-2.05-형제봉 -1.3-벽소령-2.55-선비샘-1.5-칠선봉-2.0-세석산장-0.6-촛대봉-1.86-연하봉-0.8-장터목산장-1.6-천왕봉
16.69Km 2,027m 11.36Km 1,191m 27.72Km 28.13Km 734.65Km
중산리(매표소)-3.25-법계사-1.98-천왕봉 5.23Km 1박2일
33.36Km  

 

 

출처 : 햇빛산악회(독신,싱글산악회/여행)
글쓴이 : 백곰 원글보기
메모 :

'자연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지산 산행기(안동웅부산악회 제 197차정기산행)  (0) 2010.02.22
태백산행  (0) 2010.01.29
[스크랩] 계룡산  (0) 2009.11.25
道樂山 전경 # 산경(山景) #  (0) 2009.11.16
충주호반의 유람선상   (0) 2009.11.14